시장경제

비누부터 생리대까지…생활용품 가격도 1년 새 18% 상승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하면, 부쩍 장바구니 물가에 신경을 쓰는 주부들. 해마다 요맘때면 되풀이되는....

김영미 | 기사입력 2023/11/14 [10:14]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비누부터 생리대까지…생활용품 가격도 1년 새 18% 상승

소비자원 공개 80개 제품 중 41개 판매가 올라

목욕·세탁·숙박·미용 등 개인서비스요금도↑

 

 

[yeowonnews.com=김영미 기자] 전방위적인 물가 상승 압박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1년 새 먹거리 외에 생활용품 가격도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소비자원의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이달 기준으로 생활용품 27개 품목 80개 제품 중에서 절반이 넘는 41개 제품 판매가가 지난해 11월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김장철이 가까워지면, 부쩍 장바구니 물가에 신경이 쓰이는 서민생활이라....  © 운영자

 

마포구 공덕동 거주 윤모씨(38. 가정주부)는, "날이 추워서 그런지, 물가 얘기만 나오면 더 으스스해진다.  장바구니 물가가 너무 실감 있게 오르고 있어서...."라며 "장보기가 겁나는 건 아니지만, 매년 요맘때면 물가를 걱정을 되풀이해야 하는 것이 우리네 서민 살림 이니냐?" 고 한숨. 

 

가격이 내린 제품은 31개, 가격 변동이 없는 제품은 8개였다. 가격이 오른 제품의 평균 상승률은 18%였다. 41개 제품 중 21개가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연합뉴스 등이 전하고 있다. 

 

부문별로는 가사용품(12개 품목) 35개 제품 중 23개 가격이 올랐다.

 

살균소독제, 섬유유연제, 섬유탈취제, 주방·세탁세제, 키친타월, 위생백, 습기제거제 등 거의 모든 품목의 가격이 뛰어 평균 12.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로션, 바디워시, 비누, 생리대, 샴푸, 염색약 등이 포함된 위생용품(14개 품목)의 경우 43개 제품 중 가격이 오른 것은 18개였다. 가사용품에 비해 가격이 상승한 제품 수는 적었으나 평균 상승률은 25.2%로 더 높았다.

 

기타용품으로 분류된 반려동물 사료 제품 2개는 지난해와 올해 가격이 같았다.

 

식품 물가에 더해 가정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생활용품까지 1년 새 두 자릿수의 가격 상승률을 기록하면서 소비자의 장바구니 부담이 더 커진 셈이다.

 

참가격 기준으로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가공식품 32개 품목 가운데 24개 가격 역시 1년 새 15.3%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개인서비스 요금도 예외 없이 올랐다. 서울지역 기준으로 지난달 평균 목욕 요금은 1만원으로 지난해 10월(8천538원)에 비해 17.1% 상승했다.

 

세탁 요금은 8천231원에서 8천923원으로 8.4% 뛰었고, 이용 요금은 1만1천154원에서 1만2천원으로 7.6% 올랐다.

 

이밖에 미용 요금(2만385원→2만1천231원)은 4.2%, 숙박(여관) 요금(4만8천846원→5만769원)은 3.9%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미의 다른기사 보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yeowonnews.com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김장청 #장바구니 #물가 #요금 #상승 #여원뉴스 관련기사목록